본문 바로가기
내가 찾은 꿀팁

[2023년]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소득기준 간단히 확인하기

by wecan.cafe 2023. 2. 19.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소득조건 간단히 확인하는법

1.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이란?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나라에서는 다양한 난임시술 지원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처음 난임시술을 알아보는 분들이라면 내가 어떤 지원을 받을 수 있는지 많이 헷갈리실 텐데요.

난임시술 지원 종류
- 건강보험공단 난임 지원 : 병원에서 알아서 적용해줘 신경쓸부분 없음
- 한의약 난임치료 지원사업 : 자연임신을 원하는 부부를 대상으로 지원하는 사업
- 보건소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 건강보험 본임부담금 외 비급여 부분을 지원해주는 사업 → 흔히 알고있는 난임시술 지원사업
난임시술 지원금 소득기준 확인하기

보건소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은 비급여 항목 의료비를 지원해 주는 만큼 당사자에게는 가장 큰 힘이 되는 사업이지만, 소득조건 기준이 있어 본인이 지원금 수급 대상인지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하지만, 소득조건표만으로는 단순히 파악하기가 어려워 내가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2.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소득조건

2023년 난임시술 지원금 소득기준

소득조건은 거주 중인 보건소 사이트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위 소득기준은 모두 동일하겠지만, 지자체별 추가사업이 있을 수 있어 꼭 본인이 거주하는 지역의 보건소 사이트에서 확인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소득조건을 보면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인 되어있고, 2인 가구 기준 기준 중위소득은 6,222,000원,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기준으로는 직장가입자는 222,624원입니다.

이렇게만 보면 당장 내가 저 조건에 해당되나? 한 번에 확인이 어렵습니다. 난임병원에서 위 조건에 해당이 되면 시술비 지원신청에 필요한 서류를 발급해 주는데, 발급비용이 발생하다 보니 서류를 받아야 하나? 고민하신 경험도 있으실 겁니다. 그럼 어떻게 내가 소득조건에 부함하는지 확인하는 간단한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3. 내가 소득조건에 부합하는지 간단히 확인하는 법

난임시술 지원금 소득기준 확인하기_국민건강보험
난임시술 지원금 소득기준 확인하기_국민건강보험

[Step 1]
네이버에서 '국민건강보험공단' 검색하여 접속 (혹은 여기를 클릭하여 이동)

[Step 2]
'보험료 납부확인서' 클릭 → 로그인 (카카오, 네이버, PASS 등 간편 인증 활용 가능)

[Step 3]
조회기간 선택(전월만 조회: 지원금 신청 전월의 보험료를 기준으로 함) 조회 후 '출력' 클릭

[Step 4]
다운로드된 PDF파일의 '건강보험료' 금액 확인 ('장기요양보험료'는 제외)


이렇게 확인한 '건강보험료' 금액이 가구원수에 따른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기준금액을 초과하면 보건소 난임시술 지원금 신청 자격이 아닙니다. (안타깝게도 저는 대상이 아닙니다 ㅜ.ㅜ)

난임시술을 계획하고 있는 부부라면, 해당 조건을 미리 확인하고 난임병원에 방문하여 당황하는 일이 없으시길 바랍니다.

댓글